성격 특성은 변하지 않는 부분이 아니라 아동기, 청년기, 중년기, 노령기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분명히 있습니다.
중년기는 에릭슨에 의하면 생성감 또는 자아탐닉의 단계로 청년기와 다른 자아의 성장을 보여주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자아 발달의 특징을 볼 수 있습니다.
1. 신체에 대한 민감한 반응
이미 중년기부터 나타나는 경향으로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특별히 아픈 곳이 없는 데도 몸이 아프다고 불평하며, 이것이 중년기의 노화과정 때문이라고 스스로 생각하게 됩니다. 이는 청년기에 누려왔던 최고 수준의 신체적 건강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려는 갈망과 노력으로 해석되고 이러한 심리적 경향이 지나치면 신경증의 일종인 건강염려증의 가능성도 나타나게 됩니다.
2. 시간전망의 변화
여기에서 말하는 시간전망이라는 것은 에릭슨이 시간에 대한 의식 또는 관점이란 의미로 사용한 용어입니다. 그에 의하면 45세를 전후로 중년기는 자기의 일생전체라는 긴 시간을 보는 관점이 달라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연령에 이르면 일생의 마지막 순간인 죽음에 대하여 어떤 개념을 갖기 시작합니다. 어린아이는 인생의 마지막 지점이라는 관념이 들어오지 않으므로 생일이 될 때마다 한 살씩 더해가고, 중년 이후부터는 죽음의 순간에서 한 살씩 빼어나가게 되어 나이를 거꾸로 계산하게 됩니다. 즉 연령은 늘지만 사실상 생애는 나날이 짧아지는 것으로 파악하게 됩니다.
3. 자기이해의 수단
사람이 장년기에 이르면 자기 이해의 수단으로 3가지 측면의 인생을 보려고 합니다. 즉, 젊은 시절 건장하던 부모가 이제 노인이 되어 외로워 보이는 모습, 아직도 어린아이라고 보았던 자녀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취직, 결혼하는 성인 된 모습 그리고 현재 50의 고개를 넘어가고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 이 3가지 모습을 동시에 보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비추어 보고 통합하여 자신이 이제는 결코 청년이 아니라 이미 장년기에 와 있다는 현실을 부정할 수 없게 됩니다.
4. 중심성 경향
이 시기는 직업을 가진 장년들에게는 자기 직업에 있어서 전문가로서의 자신감이 넘치는 시기입니다. 그 직업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자기 직업에 수십년 간 종사했으며, 그 분야의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업무를 남의 지도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전문가'라는 확신을 갖게 되는데 이를 중심성 경향이라고 부릅니다. 그러한 면에서 인생의 황금기라고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5. 내향적 경향
청년기와는 달리 장년기에 이르면 일상생활의 모든 사고와 행동에 있어서 내성이 중요시되고 내면화의 경향이 증가합니다. 새로운 지식의 흡수나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자신의 오랜 경험에 비추어보고 나서 신중히 조심스럽게 판단하고 행동하게 됩니다.
한편으로 청년기는 외향적으로 모든 활동의 초점이 맞춘 것에 비해 장년기는 내향작인 것으로 모든 사고와 행동이 집중됩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그동안 고향과 이웃을 떠나고, 자기의 보금자리를 떠나던 것에서 이제는 다시 고향으로, 옛 친구에게로 되돌아오는 모습에 장년기의 특징을 볼 수 있습니다. 그동안 떠나 홀로 방황하던 것에서 이제는 내면으로 안정을 갈구하면서 회귀하는 것입니다.
6. 폐경기에 대한 반응
중년기에 도달한 남성보다 폐경기에 도달한 여성은 우울증이 나타나고 이제 늙었다는 불안감에 휩싸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자신이 더 이상 생식능력을 갖지 못하게 되는 생리적 변화를 통하여 노화를 절감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에 와서는 중년여성들이 임신가능기가 끝난 사실을 오히려 마음을 가볍게 여기며 전혀 우울증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는 상반된 보고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여성들이 우울증 내지 정신신체적 증세를 보이는 것은 생물학적 연령증가에 따른 생리적 변화에 그 원인이 있다기 보다는 장년기가 인생의 주기로 보아 마지막 자녀가 장성하여 가정을 떠나고 늙은 부부 두 사람만 남게 되는 이른바 '빈 둥우리시기'와 일치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7. 마무리
지금까지 자아발달의 특징면에서의 장년기 성격특성의 6가지 변화, 신체에 대한 민감한 반응, 시간전망의 변화, 자기이해의 수단, 중심성 경향, 내향적 경향, 폐경기에 대한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